자유학년제의 개념
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토론・실습 등 학생 참여형으로 수업을 운영하고,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제도
운영모형
-
- 교육과정편성(학생중심교육과정)
- 교과 : 교육과정 편성·운영 자율성 제고, 교육과정 재구성
- 자유학년 활동 : 진로탐색활동, 주제선택화동, 예술·체육활동, 동아리활동
- 교수·학습방법(참여와 활동중심)
- 교과 : 교과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과 융합 수업, 토론, 문제해결, 의사소통, 실험·실습, 프로젝트 학습
- 자유학년 활동 : 학생의 흥미, 관심사에 기반한 프로그램 편성, 능동적, 자기주도 학습 경험 제공
- 평가 및 기재 과정 중심 평가
- 교과 : 형성평가, 협력기반 수행평가, 포트폴리오 평가 등, 성장과 발달에 중점을 둔 평가 실시
- 자유학년 활동 : 참여 및 협력정도, 열성, 특별한 활동 내역 등 평가, 학생의 꿈·끼 관련된 활동 내역 위주로 학생부 기재
- 교육과정편성(학생중심교육과정)
- ‘자유학년 활동’은 221시간 이상 편성하며, 학교의 목표와 특성을 고려하여 각 활동을 적절하게 운영
담당부서 : 교육과 중등교육팀담당자 : 김창수 연락처 : 041-539-2412